본문 바로가기
클라우드 & DevOps/클라우드

멀티 클라우드 vs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무엇을 선택할 것인가?

by ICT리더 리치 2025. 4. 18.
반응형

"멀티 클라우드가 대세일까, 아니면 하이브리드 클라우드가 더 실용적일까?" 2025년, 기업의 클라우드 전략은 이 갈림길에서 새로운 방향을 찾고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오늘은 많은 개발자와 아키텍트 분들이 헷갈려 하는 멀티 클라우드 vs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전략에 대해 명확하게 비교해보고, 실무에서는 어떤 기준으로 선택하면 좋을지 같이 배워보겠습니다.

또한 실습 코드도 함께 포함하여, 단순 개념이 아닌 실제 적용 가능한 구성까지 안내해드립니다. 그럼 시작해볼까요?

클라우드 배경 앞에서 클라우드 컴퓨팅을 설명하는 외국인 남성 전문가
클라우드 전략을 설명하는 외국인 클라우드 전문가

1. 멀티 클라우드란?

멀티 클라우드(Multi-Cloud)는 AWS, Azure, GCP 등 두 개 이상의 클라우드 서비스를 동시에 사용하는 전략입니다. 특정 서비스에 종속되지 않고 각 플랫폼의 장점을 조합하여 활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죠.

예를 들어, 머신러닝은 GCP, 백엔드는 AWS, BI는 Azure에서 운용하는 방식입니다. 벤더 종속성 회피, 장애 대응력, 비용 최적화 등의 목적에 따라 멀티 클라우드를 채택하는 기업이 늘어나고 있습니다.

  • 장점: 유연한 기술 선택, 특정 벤더 종속성 제거
  • 단점: 네트워크 복잡도 증가, 통합 관리 어려움

2. 하이브리드 클라우드란?

하이브리드 클라우드(Hybrid Cloud)온프레미스 인프라(사내 서버)퍼블릭 클라우드를 함께 활용하는 전략입니다. 민감한 데이터는 내부에서 보호하고, 나머지는 퍼블릭 클라우드에서 처리하는 방식으로, 특히 금융·공공기관에서 자주 채택됩니다.

클라우드 전환이 부담스러운 경우에도 단계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어, 디지털 전환 중간 단계의 전략으로도 효과적입니다.

  • 장점: 민감 정보 보호, 기존 인프라 재활용, 단계적 전환 가능
  • 단점: 복잡한 통합관리, 네트워크·보안 이슈

3. 어떤 상황에 어떤 전략이 맞을까?

멀티 클라우드와 하이브리드 클라우드는 서로 상반된 개념이 아니라, 사용 목적과 조직 특성에 따라 선택되어야 하는 전략입니다. 다음 기준표를 참고해보세요.

비교 항목 멀티 클라우드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적합한 대상 글로벌 서비스 기업, SaaS 금융사, 정부기관, 전통 기업
보안 통제 수준 중간 높음
운영 복잡도 높음 (플랫폼 다양성) 높음 (온프레미스 통합)
주요 장점 벤더 독립성, 탄력적 선택 기존 시스템 연계 용이

궁극적으로는 업무 특성과 컴플라이언스 요건에 따라 결정해야 하며, 일부 기업은 두 전략을 혼합해 사용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4. 실전 구성 예시 (Terraform 코드 포함)

멀티 클라우드 환경에서 AWS와 GCP를 함께 사용하는 경우, Terraform을 활용하면 공통된 코드 기반에서 인프라를 관리할 수 있습니다. 아래 예시는 AWS에 S3 버킷을 생성하고, GCP에는 Cloud Storage 버킷을 동시에 생성하는 코드입니다.

# main.tf

provider "aws" {
  region = "ap-northeast-2"
}

provider "google" {
  credentials = file("gcp-key.json")
  project     = "my-gcp-project"
  region      = "asia-northeast3"
}

resource "aws_s3_bucket" "multi_cloud_s3" {
  bucket = "my-multicloud-s3-bucket"
  acl    = "private"
}

resource "google_storage_bucket" "multi_cloud_gcs" {
  name     = "my-multicloud-gcs-bucket"
  location = "ASIA-NORTHEAST3"
}

이처럼 하나의 코드로 멀티 클라우드 리소스를 동시에 관리하면, 배포 효율성과 유지보수성을 동시에 확보할 수 있습니다. 하이브리드 환경에서도 마찬가지로 온프레미스 연동을 위한 커스텀 provider를 추가해 확장 가능합니다.

5. 자주 묻는 질문 (FAQ)

Q 멀티 클라우드를 도입하면 비용이 더 많이 드나요?

네, 단순히 두 클라우드를 동시에 운영하기 때문에 초기 비용과 운영 복잡도가 증가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특정 서비스를 최적화해 사용하거나, 한쪽 서비스 장애 시 리스크를 줄일 수 있다는 점에서 장기적으로는 효율적일 수 있습니다.

Q 하이브리드 클라우드에도 IaC(Terraform)를 적용할 수 있나요?

가능합니다. 온프레미스 리소스를 포함한 인프라를 코드로 관리하려면 custom provider를 구현하거나, 일부 플랫폼에서는 API 연동을 통해 구성할 수 있습니다.

Q GCP와 AWS를 같이 쓰면 인증 관리는 어떻게 하나요?

두 플랫폼에 각각의 IAM(Identity and Access Management)을 설정해야 하며, 공통된 사용자 인증을 위해 SSO, OAuth2, 또는 중앙 ID 플랫폼(예: Okta, Auth0)을 사용하는 것이 권장됩니다.

 

멀티 클라우드와 하이브리드 클라우드는 각각의 목적과 특징에 맞게 설계되고 운영되어야 합니다. 중요한 건 우리 조직의 보안 요건, 예산, 운영 인력 등을 고려해 가장 현실적인 전략을 선택하는 것이죠. 이번 포스팅이 클라우드 전략 수립에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었길 바랍니다.

 

다음 포스팅에서는 “클라우드 보안 자동화 실전 가이드”를 다룰 예정입니다. 기대해주세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