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SW프로그래밍 개발/Javascript

자바스크립트 기초 마스터 후 다음 단계는? ES6, React로 나아가기

by ICT리더 리치 2025. 4. 12.
반응형

자바스크립트 기초를 익혔다면, 이제 어디로 가야 할까요? 웹 개발자로 성장하기 위해선 ES6 이후의 문법React 같은 프레임워크를 이해해야 합니다.

이 글에서는 자바스크립트 입문을 마친 분들이 실전 프론트엔드 개발자로 넘어가기 위한 필수 단계를 정리합니다. ES6의 핵심 문법과 React 입문 전 꼭 알아야 할 개념들을 함께 소개할게요. 많은 내용을 담고 있기에 바로가기 목차를 잘 활용하시면 쉽게 필요한 부분으로 넘어갈 수 있습니다..

1. 자바스크립트 기초 마스터란?

많은 분들이 자바스크립트 기초를 “console.log 찍기”나 “alert 띄우기” 수준에서 끝내는 경우가 많습니다. 하지만 실무에서 말하는 ‘기초 마스터’는 그보다 훨씬 더 많은 내용을 포함합니다.

✔ 실무에서 요구하는 자바스크립트 기초 수준

  • 데이터 타입 – 숫자, 문자열, boolean, undefined, null, 객체
  • 변수 선언 – var / let / const 차이점
  • 조건문 & 반복문 – if, switch, for, while
  • 함수 선언 – 선언식 / 표현식 / 콜백
  • 배열과 객체 – 접근, 순회, 수정, 구조분해
  • DOM 조작 – document.querySelector, addEventListener

이러한 기본기를 이해하고 코드를 직접 작성할 수 있다면, 이제는 다음 단계로 넘어갈 준비가 된 것입니다. 그다음 바로 만나게 될 개념이 ES6 (ECMAScript 2015)입니다.

스마트한 10대 안경 쓴 개발자가 자바스크립트를 코딩하는 디지털 일러스트
A smart teenage developer with glasses coding JavaScript

 

2. ES6 문법부터 시작하자 – let, const, 화살표 함수

자바스크립트의 진짜 시작은 ES6(ECMAScript 2015) 이후부터라고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그만큼 현대 JS의 핵심 문법이 이 버전부터 본격적으로 도입되었기 때문이죠.

✔ let / const vs var


var name = "Mike";    // 함수 스코프
let age = 30;         // 블록 스코프
const PI = 3.14;      // 상수 (변경 불가)
  • var함수 스코프, let/const블록 스코프
  • const초기화 필수이며, 재할당 불가능
  • 가능하면 let/const만 사용하는 것이 현대 JS 스타일

✔ 화살표 함수 (Arrow Function)


// 기존 함수 선언 방식
function sayHello(name) {
  return "Hello, " + name;
}

// 화살표 함수
const sayHello = (name) => "Hello, " + name;

화살표 함수는 간결한 문법this 바인딩 유지라는 장점이 있어 React에서도 자주 사용됩니다.

ES6에는 이 외에도 템플릿 리터럴, 디스트럭처링(구조 분해), 스프레드 연산자 등 유용한 문법이 많습니다. 이제 본격적으로 모듈 시스템도 알아보도록 할게요.

3. 모듈 시스템과 import/export 이해하기

자바스크립트는 원래 파일 단위가 아닌 전역 스코프 기반 언어였습니다. 하지만 규모가 커지면서 모듈 시스템의 필요성이 생겼고, ES6부터는 공식적으로 import/export 문법이 도입되었습니다.

✔ 기본 예시 – 모듈 분리


// utils.js
export function add(a, b) {
  return a + b;
}

// app.js
import { add } from './utils.js';
console.log(add(3, 4)); // 7
  • export로 외부에 함수나 변수를 공개
  • import로 다른 파일에서 사용할 수 있음
  • 파일 확장자는 .js로 통일, 상대 경로 사용 필수

✔ React와 모듈 시스템의 연결

React 개발은 기본적으로 모듈 기반 개발 방식을 따릅니다. 즉, 컴포넌트를 파일 단위로 나누고 export default 또는 export const를 통해 관리합니다.


// MyComponent.js
const MyComponent = () => <h1>Hello!</h1>;
export default MyComponent;

// App.js
import MyComponent from './MyComponent';

자바스크립트 모듈 시스템을 이해하면, React의 컴포넌트 구조도 자연스럽게 익힐 수 있습니다.

4. React를 배우기 전에 꼭 알아야 할 JS 지식

React는 자바스크립트 위에 만들어진 컴포넌트 기반 UI 프레임워크입니다. 따라서 React를 본격적으로 배우기 전, JS에서 꼭 알고 있어야 할 핵심 개념이 몇 가지 있습니다.

✔ 꼭 알아야 할 JS 개념 5가지

  1. 함수와 콜백 함수 – 이벤트 기반 코딩의 기초
  2. 배열 메서드 – map(), filter(), forEach() 등 고차 함수
  3. 비구조화 할당 – 객체나 배열의 요소를 편리하게 추출
  4. 스프레드 연산자 – 불변성 유지와 객체 복사에 활용
  5. this, 화살표 함수 – 함수 실행 컨텍스트에 대한 이해

✔ 예시 코드 – map과 비구조화


const users = [
  { name: "Alice", age: 25 },
  { name: "Bob", age: 30 }
];

// 비구조화 + map
users.map(({ name, age }) => {
  console.log(name + " is " + age + " years old.");
});

이처럼 React는 자바스크립트의 고급 기능을 자연스럽게 응용합니다. 기초가 튼튼할수록 React 학습이 훨씬 빠르고 쉽게 느껴질 거예요.

5. React의 기본 개념 – 컴포넌트, Props, State

React를 처음 접할 때 꼭 알아야 할 핵심 키워드는 컴포넌트(Component), 프롭스(Props), 상태(State)입니다. 이 3가지를 이해하는 것이 React의 출발점입니다.

✔ 컴포넌트 (Component)

UI를 구성하는 독립적이고 재사용 가능한 코드 블록입니다. React는 모든 화면을 컴포넌트 단위로 쪼개어 구성합니다.


function Welcome() {
  return <h1>환영합니다!</h1>;
}

✔ Props (속성)

부모 컴포넌트가 자식 컴포넌트에게 전달하는 데이터입니다. props는 읽기 전용이며, 내부에서 직접 수정할 수 없습니다.


function Greeting(props) {
  return <h1>Hello, {props.name}</h1>;
}

<Greeting name="Jisu" />

✔ State (상태)

컴포넌트 내부에서 관리하는 값이며, 동적 UI를 구현할 때 사용합니다. State가 변경되면 컴포넌트는 자동으로 다시 렌더링됩니다.


import { useState } from 'react';

function Counter() {
  const [count, setCount] = useState(0);

  return (
    <div>
      <p>현재 카운트: {count}</p>
      <button onClick={() => setCount(count + 1)}>+1</button>
    </div>
  );
}

React를 제대로 배우기 위해서는 이 세 가지의 흐름(데이터 전달 → 상태 관리 → UI 렌더링)을 자연스럽게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6. JS에서 React로 넘어갈 때 헷갈리는 포인트

자바스크립트를 충분히 익혔더라도, React로 넘어가는 순간 헷갈리는 부분이 많습니다. 이는 단순 문법 차이보다 개발 방식과 사고방식의 변화 때문인데요, 대표적인 예시들을 함께 살펴보겠습니다.

✔ 1. HTML이 아니라 JSX!

JSX는 JavaScript에 HTML을 섞은 문법처럼 보이지만, 실제로는 React.createElement()로 컴파일되는 JavaScript 문법입니다.


const element = <h1>Hello, React!</h1>;

✔ 2. DOM 조작 대신 상태(state) 사용

기존 JS에서는 document.getElementById()로 DOM을 직접 제어했지만, React에서는 useState와 상태값으로 UI를 관리합니다.

✔ 3. 함수가 아닌 컴포넌트 단위 개발

JS에서는 기능 중심으로 함수를 구성했다면, React에서는 화면 단위로 구성요소(컴포넌트)를 나누는 방식을 사용합니다.

✔ 4. props와 state의 차이

  • props는 부모 → 자식으로 전달하는 데이터 (읽기 전용)
  • state는 컴포넌트 내부에서 선언하고, setState로 업데이트

이러한 차이점을 미리 이해하고 넘어가면 React를 훨씬 수월하게 받아들일 수 있습니다.

7. JS → ES6 → React로 성장하는 방법 정리

자바스크립트를 배우는 것은 웹 개발의 입문입니다. 하지만 실제 서비스를 만들기 위해선 다음 단계로 계속 확장해 나가는 전략이 필요합니다.

✔ 추천 학습 로드맵

  1. 자바스크립트 기초 – 변수, 조건문, 함수, DOM, 이벤트
  2. ES6 문법 – let/const, 화살표 함수, 템플릿 리터럴, 구조 분해 등
  3. 모듈 시스템 – import/export 개념과 실제 사용
  4. React – 컴포넌트 기반 UI 개발, Props와 State 이해
  5. React Hooks – useState, useEffect 등 함수형 컴포넌트 활용
  6. 상태관리 – Context API, Redux 등으로 확장

이 과정을 따라가면, 단순한 문법 암기를 넘어서 실제 웹 서비스를 설계하고 개발할 수 있는 프론트엔드 개발자로 성장할 수 있습니다.

 

자바스크립트 기초를 끝낸 지금이 바로 프레임워크로 나아갈 최고의 타이밍입니다. 기초 문법을 단단히 다지고 ES6를 정리하면 React, Vue, Svelte 등 어떤 프레임워크든 빠르게 익힐 수 있어요. 이 글이 여러분의 다음 성장 단계에 좋은 이정표가 되었길 바랍니다.

반응형